2017년 12월 13일 수요일

2017년 12월 12일 화요일

赵岐《孟子题辞》


《孟子题辞》者,所以题号孟子之书。本末指义文辞之表也。孟,姓也。子者,男子之通称也。此书,孟子之所作也,故总谓之《孟子》,其篇目则各自有名。孟子,邹人也。名轲,字则未闻也。邹本春秋邾子之国,至孟子时改日邹矣。国近鲁,后为鲁所并。又言邾为楚所并,非鲁也。今邹县是也。或曰:「孟子,鲁公族孟孙之后故,孟子仕于齐,丧母而归葬于鲁也。三桓子孙,既以衰微,分适他国」。孟子生有淑质,夙丧其父,幼被慈母三迁之教。长师孔子之孙子思,治儒术之道,通《五经》,尤长于《诗》、《书》。周衰之末,战国纵横,用兵争强,以相侵夺。当世取士,务先权谋,以为上贤,先王大道陵迟隳废。异端并起,若杨朱、墨翟放荡之言,以干时惑众者非一。孟子闵悼尧舜、舜、汤、文、周、孔之业将遂湮微,正涂壅底,仁义荒怠,佞伪驰骋,红紫乱朱。于是则慕仲尼周流忧世,遂以儒道游于诸侯,思济斯民。然由不肯枉尺直寻,时君咸谓之迂阔于事,终莫能听纳其说。孟子亦自知遭苍姬之讫录,值炎齐之未奋,进不得佐兴唐、虞雍熙之和,退不能信三代之馀风,耻没世而无闻焉,是故垂宪言以诒后人。仲尼有云:「我欲托之空言,不如载之行事之深切著明也。」于是退而论集所与高第弟子公孙丑万章之徒难疑答问,又自撰其法度之言,著书七篇,二百六十一章,三万四千六百八十五字。包罗天地,揆叙万类,仁义道德,性命祸福,粲然靡所不载。帝王公侯遵之,则可以致隆平,颂清庙;卿大夫士蹈之,则可以尊君父,立忠信;守志厉操者仪之,则可以崇高节,抗浮云。有风人之托物,《风雅》之正言,可谓直而不倨,曲而不屈,命世恶圣之大才者也。孔子自卫反鲁,然后乐正,《雅》、《颂》各得其所,乃删《诗》定《书》,系《周易》,作《春秋》。孟子退自齐、梁,述尧、舜之道而著作焉,此大贤拟圣而作者也。七十子之畴,会集夫子所言,以为《论语》。《论语》者,《五经》之馆饣害,《六艺》之喉衿也。孟子之书,则而象之。卫灵公问陈于孔子,孔子答以俎豆;梁惠王问利国,孟子对以仁义。宋桓魁欲害孔子,孔子称「天生德于予」;鲁臧仓毁鬲孟子,孟子曰「臧氏之子焉能使予不遇哉!旨意合同,若此者众。又有《外书》四篇,《性善》、《辩文》、《说孝经》、《为政》。其文不能弘深,不与内篇相似,似非孟子本真,后世依放而托之者也。孟子既没之后,大道遂绌,逮至亡秦,焚灭经术,坑戮儒生,孟子徒党尽矣。其书号为诸子,故篇籍得不泯绝。汉兴除秦虐禁,开延道德,孝文皇帝欲广游学之路,《论语》、《孝经》、《孟子》、《尔雅》皆置博士。后罢传记博士,独立《五经》而已。讫今诸经通义,得引《孟子》以明事,谓之博文。孟子长于譬喻,辞不迫切,而意已独至。其言曰:「说《词》者不以文害辞,不以辞害志;以意逆志,为得之矣。」斯言殆欲使后人深求其意,以解其文,不但施于说《诗》也。今诸解者往往摭取而说之,其说文多乖翼不同。孟子以来五百馀(余)载,传之者亦已众多。余生西京,世寻丕祚,有自来矣,少蒙义方,训涉典文,知命之际,婴戚于天,构屯离蹇,诡姓遁身,经营八之内,十有馀(余)年,心剿形瘵,何勤如焉!尝息肩弛担于济、岱之间,或有温故知新,雅德君子,矜我劬瘁,眷我皓首,访论稽古,慰以大道。余困吝之中,精神遐漂,靡所济集,聊欲仔志于翰墨,得以乱思遗老。惟六籍之学,先觉之士,释而辩之者既已详矣。儒家惟有《孟子》,闳远微妙,奥难见,宜在条理之科。于是乃述已所闻,证以经传,为之章句,具载本文,章别其指,分为上下,凡十四卷。究而言之,不敢以当达者;施于新学,可以寤疑辩惑;愚亦未能审于是非,后之明者,见春违阙,傥改而正诸,不亦宜乎。(《孟子》赵《注》宋本)x
Share:

2017년 12월 5일 화요일

不貪夜識金銀氣

두보의 題張氏隱居에 不貪夜識金銀氣 한 구절이 이상하구만.
 叶嘉莹의 해석은 :“五句写夜宿所见的烟岚霞气之美,藉以映衬张氏之高洁清廉。”
宋 蔡梦弼《杜工部草堂诗笺) : “ 公言以不贪, 故夜识其气象也。《史记· 天官书》: ` 大水处, 败军场, 破国之虚, 下有积钱, 金宝之上皆有气, 不可不察。’ < 地镜图> : ` 黄金之气, 千万斤以上, 光大如镜盘也。’ 远, 于愿切, 离也。公言张氏全身远害, 于此与麋鹿游也。” “ 不负” “ 远害” 二句都指张氏言。

元 虞集< 杜工部七言律诗> 卷上: “ 因美张公惟能不贪, 故夜间常识宝气, 谁能远害全身。”

明 王嗣奭< 杜臆》: “ `不贪’ ` 远害’ 语近道, 说得隐士有身分。”

清钱谦益< 杜工部集》: “ 《寓简》日: ` 齐梁间山阴隐者孔祐。至行通神, 尝于四明山谷中, 见积钱数百解, 视之如瓦石。樵人竞取之, 入手即成沙砾。’不贪夜识金银气, 祐之谓耶! ”

杨伦《杜诗镜铨》 : “ 东坡谓深山大泽, 有天地之宝, 惟无意于宝者能识之,即此句意也。”

題張氏隱居二首 
【题注】次首当是数至后再题。
春山無伴獨相求,伐木丁丁山更幽①。澗道餘寒歷冰雪,石門斜日到林邱②。不貪夜識金銀氣,遠害朝看麋鹿遊③。乘興杳然迷出處④,對君疑是泛虛舟⑤。 
【译文】漫游春山却无伴侣,因而特意把您访求,丁丁的伐木声,更显出山谷的清幽。走过还残留着冰雪的涧道,穿过斜阳辉映的石门,终于来到您的林中茅屋。您不贪恋财物,夜间不去观察金银之气;只愿躲避灾祸,每天欣赏麋鹿闲游。我乘兴而来,被您的淡泊情怀所感,以致迷失了出处。同您在一起漫游,仿佛是坐上一只随意漂浮的小舟。 
【仇笺】此首初访张君而作也。上四言景,下四言情。细分之,首句张氏,次句隐居。三四切隐居,言路之僻远,五六切张氏,言人之廉静。末二说得宾主两忘,情与境俱化。上海朱瀚曰:看此诗脉理次第,曰斜日,曰夜,曰朝,曰到,曰出,曰求,曰对,分明如画。 
【杨眉】蒋弱六云:写其居其人,皆迥绝尘凡,杳不可及。 
【注释】① 与鸟鸣山更幽同旨。 ②【夹】王阮亭云:情景俱佳。 ③《史·天官书》:败军场,破国之墟,下有积钱,金宝之上,皆有气,不可不察。《南史》载梁隐士孔祐至行通神,尝见四明山谷中有钱数百斛,视之如瓦石。樵人竞取,入手即成沙砾。又东坡谓深山大泽,有天地之宝,惟无意于宝者能识之。即此句义也。【夹】邵子湘云:中有至理。 ④ 谓如入桃源。 ⑤ 谓无心与化。《庄子》:方舟而济于河,有虚船来触舟,虽褊心之人不怒。
【集评】仇曰:唐律多在四句分截,而上下句,自具起承转阖。如崔颢《行经华阴》诗,上半华阴之景,下半行经有感,武帝祠前二句乃承上,河山北枕二句乃转下也。崔署《九日登仙台》诗,上半九日登仙台,下半呈寄刘明府,三晋云山二句乃承上,关门令尹二句乃转下也。杜诗格法,类皆如此。首句春山二字一读,次句伐木丁丁四字一读,下面涧道余寒、石门斜日皆四字一读,不贪、远害、乘兴、对君皆二字一读。知得句中有读,则意义自易明矣。
  高棅曰:七言律诗,又五言之变也,在唐以前,沈君攸七言俪句已肇律体,唐初始专此体,沈宋辈精巧相尚。开元初,苏张之流盛矣。盛唐作者不多,而声调最远,品格最高,若崔灏、贾至、王维、岑参,当时各极其妙。至于李颀、高适,当与并驱,未论先后也。少陵七言律法,独异诸家,而篇什亦盛,如《秋兴》诸作,前辈谓其大体浑雄富丽,小家数不可仿佛,诚然。
  杨士奇曰:律诗始盛于开元、天宝之际,若浑雄深厚,有行云流水之势,冠裳佩玉之风,流出胸次,从容自然,而皆由夫性情之正,不拘于法律,而亦不越乎法律之外。所谓从心所欲不逾矩,为诗之圣者,其杜少陵乎。
  胡应麟曰:近体莫难于七言律,五十六字之中,意若贯珠,言若合璧。其贯珠也,如夜光走盘而不失回旋曲折之妙。其合璧也,如玉匣有盖而绝无参差扭捏之痕。綦组锦绣,相鲜以为色。宫商角徵,互合以成声。思欲深厚有余,而不可失之晦。情欲缠绵不迫,而不可失之流。肉不可使胜骨,而骨又不可太露。辞不可使胜气,而气又不可太扬。庄严则清庙明堂,沉着则万钧九鼎,高华则朗月繁星,大则泰山乔岳,圆则流水行云,变幻则凄风急雨,一篇之中,必数者兼备,乃称全美。迄唐,高、岑明净整齐,所乏远韵。王、李精华秀朗,时觉小疵。学者步高、岑之格调,合王、李之风神,加以工部之雄深变幻,七律能事毕矣。又曰:近体,盛唐至矣,充实辉光,种种备美,所少者曰大曰化耳,故能事必老杜而后极。杜公诸作,正所谓正中有变,变而能化者。今其体调之正,规模之大,人所共知。惟变化二端,勘核未彻。不知变主格、化主境,格易见,境难窥。变则标奇越险,不主故常。化则神动天随,从心所欲。七言近体诸作,所谓变也,如锦江春色来天地,玉垒浮云变古今;织女机丝虚夜月,石鲸鳞甲动秋风;香稻啄余鹦鹉粒,碧梧栖老凤凰枝;听猿实下三声泪,奉使虚随八月槎,字中化境也。无边落木萧萧下,不尽长江滚滚来;二仪清浊还高下,三伏炎蒸定有无;永夜角声悲自语,中天月色好谁看;绝壁过云开锦绣,疏松隔水奏皇簧,句中化境也。昆明池水、风急天高、老去悲秋、霜黄碧梧,篇中化境也。又曰:大概杜有三难,极盛难继,首创难工,遘衰难挽。子建以至太白,诗家能事都尽,杜后起,集其大成,一也。排律近体,前人未备,伐山道源,为百世模,二也。开元既往,大历系兴,砥柱其间,唐以复振,三也。 
陆时雍曰:工部七律,蕴藉最深,有余地,有余情,情中有景,景外含情,一咏三讽,味之不尽。

之子時相見,邀人晚興留。霽潭鱣發發,春草鹿呦呦①。杜酒偏勞勸,張梨不外求②。前村山路險,歸醉每無愁。 
【译文】这位张先生经常与我相见,眼下天色已晚,却仍然邀我留下,已尽晚间之兴。晴明的潭水上,鳣鱼游跃,弄出“发发”的声响。春天的草野间,传来“呦呦”的鹿鸣。这酒啊,说来本是我们杜家酿造的,现在却要劳您相劝;晋代的张公之梨当是美味,恰好您也姓张,所以也就不必到大谷求购。前村的山路虽然艰险,却已在醉中走熟;让我们尽情地喝吧,来个一醉方休。 
【仇笺】此记张氏留饮之兴也。曰:时相见,则往来非一度矣。邀人句起中四。鱼跃鹿鸣,晚时之景。酌酒削梨,留客之具。醉归忘险,极尽主人之兴矣。顾注:杜酒、张梨,暗用宾主二姓。酒本出于杜,故云偏劳劝。梨自出于张,故云不外求。 
【注释】①《诗》:鱣鲔发发。发,音拨。《诗》:呦呦鹿鸣。【夹】用经不腐。【眉】頋修远云:巧对蕴藉不觉。 ②《急就篇注》:古者仪狄作酒醪,杜康又作秫酒。潘岳《闲居赋》:张公大谷之梨。 
【集评】张綎曰:前诗但述隐居孤寂以美张氏,未言相留款曲之情,故次诗尽之。
  仇曰:可见古人作二首者,不徒然也。此两诗非一时之作,玩首句时字,末句每字,可见。
黄常明诗话曰:杜诗多用经语,如车辚辚,马萧萧、鱣发发、鹿呦呦,皆浑然严重,如入天陛赤墀,植璧鸣玉,法度森严。然后人不敢用者,岂非造语肤浅不类耶。

Share:

杜甫,寒雨朝行視園樹


柴門雜樹向千株,丹橘黃甘此地無。
江上今朝寒雨歇,籬中秀色畫屏舒
桃蹊李徑年雖故,梔子紅椒艷復殊。
鎖石藤稍元自落,倚天松骨見來枯。
林香出實垂將盡,葉蒂辭枝不重蘇。
愛日恩光蒙借貸,清霜殺氣得憂虞。
衰顏更覓藜床坐,緩步仍須竹杖扶。
散騎未知云閣處,啼猿僻在楚山隅。

*散騎:진(晉)나라 반악(潘岳)을 말한다. 반악의 〈추흥부서(秋興賦序)〉에 “산기성(散騎省)에서 우직(寓直)한다.”라고 했는데, 이후 기성은 반악을 가리키는 전고가 되었다. 반악은 30대에 반백이 되었다고 한다.
Share:

2017년 12월 4일 월요일

唐甄의 潛書, 五經

五經者, 心之迹, 道之散見, 非直心也. 仲尼之時, 文籍或多, 而其要者惟此五書. 乃繫易以道陰陽, 序書以明治法, 刪詩以著美惡, 脩春秋以辨邪正, 定禮以制言行. 於是學者力行之暇, 有所誦習 ; 此博文之事, 造道之階也. 至於直指其心, 因人善誘, 則在論語一書 ; 而繼之者又有大學中庸孟子. 此四書者, 皆明言心體, 直探道原 ; 脩治之方, 猶坦然大路. 學者幸生仲尼之後, 入其門者, 隨其力之大小, 取之各足, 尙何藉於五經乎! 取而譬之 : 五經如禾稼, 四書如酒食. 酒食在前, 卽可醉飽 ; 乃復遠求之五經, 是舍酒食而問之禾稼也, 豈不迂且勞哉!
雖然, 五經何可已也! 於易觀陰陽, 於書觀治法, 於詩觀美惡, 於春秋觀邪正, 於禮觀言行. 博而求之, 會而通之, 皆明心之助 ; 第不可務外忘內, 舍本求末耳. 若務外忘內, 舍本求末, 三五成群, 各夸通經, 徒炫文辭, 騁其議論, 雖極精確, 毫無益於身心. 則講五經者, 猶釋氏之所謂戱論, 莊周之所謂糟粕也, 與博弈何異! 是故陽明子曰 : “心如田, 經則田之籍也. 心已亡矣, 而日窮經, 猶祖父之遺田已鬻於他人, 而抱空籍以爲我有此田, 可乎?” 此學經之準也.
近世之於五經, 群疑多端, 衆說蜂起, 不可以不定所從. 子思之後世, 有哲人孔安國, 仲尼之十日世孫也. 仲尼旣沒, 諸儒則講習於塚上, 自漢不絶. 安國尤長於書, 乃其家學, 而又得聞於諸儒之言. 其所作書傳, 必得其眞. 學書者, 舍安國其奚從! 詩之序, 必仲尼之徒爲之. 以序言繹詩意, 論世論人, 言隱而義顯. 大毛公及事荀卿, 其去仲尼之世未遠也. 其創爲傳也, 尊序如尊經. 小毛公又繼成之. 鄭氏遵暢厥旨, 詩之義大明. 學詩者, 舍毛鄭其奚從! 至於左丘明, 身爲魯史, 其所記述, 本末周詳, 典禮彰明. 仲尼取之以脩春秋, 丘明卽史爲傳, 以明仲尼之褒貶, 更無可疑. 杜氏又推五體, 觸類而長之, 以發傳所未發, 春秋之義大明. 學春秋者, 舍左氏其奚從!
自宋及明, 世之學者, 好爭訟而罵人, 爲創見以立異 ; 以其意斷百世以上之事, 繁引曲證以成其自是. 凡周漢以來授受之有本者, 皆草刈而糞除之. 暴秦燒之於前, 世儒斬之於後, 其亦甚悍矣哉!
今人於五經, 窮搜推隱, 自號爲窮經. 此尤不可. 何也? 當漢之初, 學者行則帶經, 止則誦習, 終其身治一經而猶或未逮. 若是其難者, 何也? 蓋其時經籍滅而復出, 編簡殘缺, 文辭古奧, 訓義難明, 是以若是其難也. 今也不然. 訓義旣明, 坐亨其成, 披而覽之足矣. 雖欲窮之, 將何所窮!
甄也老而知學, 寡聞而善忘. 於詩, 患毛鄭之言大同而小異, 說詩無兩是之義, 擇其善者而從之, 以便稱引, 故於詩有言. 於春秋, 患左氏之言太簡, 取觸類而長之義, 以通其所未及, 故亦有言. 使養子寫以爲冊, 忘則檢之. 其於詩春秋之旨, 如聽家人之言, 閭巷之語, 更不勞我心思, 妄起疑義. 書未及爲也. 甄老矣, 禮書繁而未能讀, 且徐俟之. 至於易, 固在道陰陽, 窮性命, 知進退. 然必占事知來, 乃可以用易. 不能知來, 非占矣, 易爲空理矣. 他日若有所受則爲之, 不然, 其亦已矣.
吁嗟乎! 人之於道猶門也, 而不出入於門 ; 人之於道猶飮食也, 乃飮食而不知味 ; 其異於禽獸者幾希矣. 故夫心之不明, 性之不見, 是吾憂也 ; 五經之未通, 非吾憂也.
Share:

2017년 12월 2일 토요일

楓中一鳥鳴,鳥去獨留聲。
屬意終朝守,身心為此紅。 
단풍 속에 새 한 마리 울어, 새 떠나도 소리는 홀로 남네.
남긴 뜻 하루종일 지켜, 몸도 마음도 붉다오.




Share:

晚夏新秋

風蕭心忽戚,以節繫于身。
雨獵階沿碎,思鱸信息新。
身委夏叢林,終朝綠影侵。
白雲埋眼底,不覺顫秋音。
飛蛾迷喪殞,誤燭認蟾蜍。
觸熱吾心曲,寒衾托一噓。 
嵐生山渲半,曉近月稀多。
迢遞盟鷗跡,山空夏又過。
Share:

讀晁錯傳

天驕萬騎一謀當➀,
不愛一人謝天下➁。
朝恩夕棄但由君,
自古為臣頻淚灑。 
➀天驕:《漢書,匈奴傳》載,匈奴單于曾自謂其族乃「天之驕子」。後人用以泛指北方少數民族。
➁「顧誠何如,吾不愛一人謝天下。」一語見於漢書晁錯傳。
Share:

薩德賦(戲作)



余為海東愚夫,棲於瑞石。世故冗政兮,充耳以尋幽蘭。褒貶是非兮,放言樂其考槃。然車馬之諠聒,時不遮擋,以污陶籬柵欄。又雌黃之囂論,干雲侵影,其濁富春嚴灘。

遥指軟塵之處兮,問其何事攘攘。蒿目蝃蝀貫日兮,隔之關山莽莽。或以告之,北疆甫醒魍魎,動輒隳突放蕩,無人抗之兮,目目相覷惝恍。或以責之,關內土花鎧仗,執之徒為鞅掌,無以敵之兮,不若求援歸仰。

迺問其詳,人斥吾之守墨,咋舌齊曰:西有花旗壽域,蓋世之氣,列邦受之羈勒,甲首之富,所向夸勇逞力,食貨之數,纏牽薄海利息,典章之備,被之遐陬成式。問其何國,答曰米國。

其國有器兮,咸稱神妙偉特,能扼殘賊,疆事或當羽翼。其國有械兮,齊美運籌莫测,可制專逼,閫任或充所職。粵彼海東,互設九罭,進退維亟,周道榛棘,鎮塞之事,俾相忐忑,將借機器,以謀 平熄,星州閫閾,以備憑軾,伽倻丘側,置之蒲弋。問其何機器,美其名曰薩德。

是夜輾轉,就枕難眠。殘漏遲遲,夢見一仙。聊以正襟,敢問仙客何位,曲駕蝸廬何緣。仙客掀髯答之,名曰墨翟,非為神仙。遠眺硝煙,角聲沖天,極張弩弦,干戈動邊,若失衡權,難保其全。傷其兼愛之不傳兮,悼其常經之倒顛。嘆其王道之不宣兮,悲其箕風之蕭然。

吾以訝之,又服其誠曰,先生與我之間兮,生死隔之。死者無識,生者不辨。泉下之距,實為不淺。先生不煩夢游兮,迭迭幽顯。以魂諭魄,諄諄誘善。此吾為之伏膺之一也。先生與我之間兮,宇宙隔之。以宇論之,重譯八荒,遙之渺茫。以宙論之,千年之長,須歷滄桑。先生不辭重險兮,超越時光。無顧古今之阻閡兮,跋涉不妨。力陳非戰,衷心奔忙。此吾為之伏膺之二也。敢問先生,不遠萬里而來兮,將有以利吾東方乎。

子墨子曰,南有薩德,盤據三韓,北有核彈,挾勢巑岏,角壯對峙,參商相瞞,城入彀中,國成韇丸。斥北方橫霸之前兮,且揭薩德之兇殘。寔彼薩德,拒則為難,置而不安,左右悉癱。薩德其為不德兮,夫有三者可嘆。聞者駭殫,觀者心寒。

以其名論之兮,薩德之稱, 洵悖其名。以菩薩之休聲兮,飾其實之弄兵。以凶德之橫行兮,害常德之生生。夫乾德者兮,以剛健達其成。允坤德者兮,以柔順育其精。好生之心兮,原德之所經營。唯其薩德兮,名為相得,實為相攖,其煞德之甚兮,其害仁之自明。

以其實論之兮,薩德之用,頗為怪疑。改其閭閻兮,成其轅門牙旗。換其閨窗兮,立彼柳營武帷。轒轀重圍兮,雲梯之下覆尸。鄣隊高㟝兮,飛樓之影欹危。名以鎮攝戎夷兮,實而助陣興師。外以嫥梡僵局兮,裡則樽俎頽虧。折衝之機失矣兮,睢睢盱盱。虞芮之訟違焉兮,睥睨促眉。子不聞君讖之訓兮,柔能制剛,強用弱支,古聖之知,而今已衰。

以其理論之兮,薩德之道,戕其常棣之誼。毀其紫荊之義。稽考族系兮,南北本為同類。譬如兩唇兮,合為共吹。上唇不穩,下唇不利。合唇發辭,時有失次,況彼亡一,乖戾何避。缺一則竟亡二兮,亂其言遂喪志。鬩牆之久兮,危其垣以殆墜。勃豀之烈兮,虐厥髓乃盡瘁。

爰鰈域之兵燹兮,釁兆起於蟻垤。青丘之瓜分兮,其端見於隙穴。疇昔銅狄,銷天下之尺鐵。一統九州,同衢逵之車轍。而其有天下兮,如泥人之繆結,倏忽斷絕,方夏還是割裂。苟不以仁愛兮,徒勞其舌。若不偃武推之兮,難免見血。夫佳兵之不祥兮,固古人之成說。其不得已用之兮,必任之於賢哲。今以黷武治之兮,其掎角之必折。或以窳啙求安兮,惟國力之窮竭。吾以為之煩心,吾以為之燠熱!

先生之教,謹以銘記。先生之憤,應響發喟。非攻之忱,許解高懟。非戰之仁,或止專肆。但惜其教,只提一半。以請留茲,願聞其次。先生躑躅變其色曰,此行已遲矣,不善緩轡。語未終,欻然一風撲窓鳴,對空墻之窅然,覺其宵寐,悟其夢事。
Share:

古詩贈答(1)


韩国挚友李君备考北大中文博士有寄(王)
远蹈孤云事可期,四佳风味有谁疑。
大同江畔君应伫,暂向光州赋别离。

次韻答之(李)
托意桐音愧子期,見情錦字信無疑。
未曾相別尤傷別,後日那堪真别離。

2017.12.03 
Share:

1981年 03期

▎姜文清,汉代经学、神学对辞赋文学的影响
劝百” 是把皇帝当作神来歌颂, “ 讽一” 是把皇帝看成是君主来劝谏。汉代神学的“ 天人合一” : 皇帝既是人间最高统治者, 又是上天的代表者的理论, 在这些赋中得到完全实现。 
汉大赋总是以“ 众大之辞” 来歌颂封建帝王的“ 尊” 、“ 仁” 、“ 神” 、“ 明” 。 
毒化汉大赋的就是在大规模掀起经学高潮的基础上应运而昌的阴阳灾异, 天人感应, 神仙方术, 繁文琐句, 循旧保守, 呆板沉闷种种邪说陋风。前三种尽力化为汉大赋的灵魂, 后三样拼命涂抹它的容装。这就是汉大赋缺乏先进的思想和艺术魅力较差的原因。 
한부의  또 다른 내재적 의미는 美와 刺의 도식이 아닌, 独尊과 백가, 사상의 고정성과 사상의 다원성사이의 문제가 아닐까. 


Share:

2017년 12월 1일 금요일

姚淦铭,《说文》编纂的《易》哲学视界

-《说文》关于文字的一些观念直接来源于易。许慎不仅对汉字的形音义作出具体的解说, 还进行了形而上的哲学思考, 比如汉字的起源与发展, 汉字的作用等。 
-汉字沟通周易之“ 象” 
-汉字分析与卦艾分析也有沟通 
-《易· 系辞上》“ 生生之谓易” 孔颖达疏“ 生生, 不绝之辞。阴阳变转, 后生次于前生, 是万物恒生谓之易。”汉字是与周易》的“ 易”精神相沟通的 
-说文部首个, 是六、九之乘数构成的, 虽然显示出牵强附会的一面, 但其内核深含周易的哲理。 
-为什么老阴是六, 而不是八呢因为“ 阳进阴退” , 阴由八退至六, 六为老阴, 八为少阴。 
-“ 亥”又是新的生命运动的逻辑起点, “ 亥”是新的生命的孕育与诞生的象征。汉字在这种生生不息的生命运动中永远保持活力,延续生命的辉煌。从“ 一”至“ 亥” , 又将从“ 亥”至“ 一” , 这是生命的圆圈式的上升过程, 而且“ 一”连着“ 道” , 汉字的生命不仅与人合一, 而且天地合一, 天人合一。 
-以生育意义的“ 字”来指称文字之“ 字” , 不仅赋予文字以生命, 而且深寓生命诞生、创造、生成形式、连续过程的生命哲学。
Share:

李圭景,《설문(說文)》에 대한 변증설,오주연문장전산고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301A_0050_030_0030&solrQ=query%E2%80%A0%E7%94%B7%E5%A5%B3%E6%A0%B9%E5%AD%97%E8%B1%A1%E5%BD%A2%E8%BE%A8%E8%AD%89%E8%AA%AA$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1301A_0050_030_0030

《설문(說文)》에 대한 변증설
고영인(顧寧人 영인은 고염무(顧炎武)의 자)은 이르기를예서(隷書) 이후로 육서(六書)의 본 뜻을 잘 밝혀, 삼대(三代)의 글을 오늘날까지 남아 있게 하여 고인(古人)이 글자를 만든 근본을 알게 한 것은, 허숙중(許叔重 숙중은 허신(許愼)의 자)이 지은 《설문해자(說文解字)》의 공로가 크다 하여 후세의 학자들이 받들어 법을 삼지 않는 사람이 없으나 나는 모든 점이 다 그렇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육경(六經)의 글인 좌씨(左氏)ㆍ공양(公羊)ㆍ곡량(穀梁)의 전()과 모장(毛萇)ㆍ공안국(孔安國)ㆍ정중(鄭衆)ㆍ마융(馬融) 등 여러 학자의 훈고(訓詁)로도 그 모두가 경전(經傳)의 본 뜻과 반드시 합치된다고는 할 수 없는데, 더구나 숙중(叔重)은 동경(東京 후한(後漢))의 중엽에 태어나서 《설문해자》의 바탕을 삼은 것이라고는 유흠(劉歆)ㆍ가규(賈逵)ㆍ두임(杜林)ㆍ서순(徐巡) 10여 인의 학설에 불과한데도 완전히 옛사람의 본뜻을 터득했다고 생각하니 참으로 그럴까 하는 것이 첫째 이유요, 오경(五經)은 채옹(蔡邕) 등이 정정(正定)하기 이전에는 전사(傳寫)할 때마다 사람에 따라 달랐다. 이제 그 책에 수록된 것이 대체로 이자(異字)가 많은데 현재의 경전을 가지고 비교해 볼 때 《설문》이 그만 못하고, 또 《설문》은 같은 책 중에서 동일한 것을 두 군데에 인용하면서 그 글이 서로 다르니, 이를테면 사()자 아래에 《시경(詩經)》을 인용하여 강유사(江有氾)라 쓰고 사()자 아래에도《시경》을 인용하면서 강유사(江有)라 하였고, ()자 아래에는《서경(書經)》을 인용하면서 방구잔공(旁逑孱功)이라 쓰고 잔()자 아래에도《서경(書經)》을 인용하면서 방구잔공(旁救)이라 하였다. 또 근()자 아래에는 《시경》을 인용하여 적석기기(赤舃己己)라 쓰고, ()자 아래에도《시경》을 인용하면서 적석견견(赤舃掔掔)이라 썼다. 후세에 이 책을 읽는 자들이 장차 어느 것을 따르겠는가 하는 것이 둘째 이유이다. 정현(鄭玄)이 허신(許愼)의 《설문》이 오경과 뜻이 다름을 논박하였고,《안씨가훈(顔氏家訓)》에도《설문》중에 경전을 인용한 것이 지금의 경전과 서로 어긋나는 것이 있으므로 감히 따를 수 없다.” 한 것을 이른다. 유전(流傳)된 지 이미 오래이니 어찌 탈루(脫漏)가 없으랴! 그러므로 서현(徐鉉)도 이르기를전서(篆書)가 인체(堙替)된 지 오래이므로 착란(錯亂)되고 유탈(遺脫)된 것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 이제 예를 들면 《설문》에 빠진 글자는 반드시 옛날에는 없던 글자인데도 따로 한 글자를 지적하여 그 자에 해당시켰다.’ 한 것이다. 이를테면《설문》에 유()자가 없는데 후인이 유()자로 그에 해당시켰고, ()자가 없는데 유()자로, ()자를 통()자로 해당시킨 것 등이다. 경전을 고쳐 《설문》에 맞추어 지리하게 둘러 붙인 것이 그 셋째 이유이다. 이제 그 중 한두 가지를 들어 평하려 한다.
()ㆍ송()ㆍ설()은 모두 국명인데, 진자는 화()를 따랐으니 토지가 벼농사에 합당한 것이라 하였으니 또한 너무 오활한 말이고, ()자는 목()을 따라 거처를 삼았고, ()자는 신()을 따라 고()가 된다 하였으니 이것은 무슨 이치인가?
비서(費誓) 《서경》의 편명)의 비()자를 고쳐서 비()라 쓰고는 악미(惡米)라 풀이하였고, 무왕재패(武王載旆)의 패()자를 고쳐서 발()로 쓰고 한 삽으로 떠낸 흙이다()하고, ()자를 시어미[]라 하고 야() 자를 여음, ()자를 격성(擊聲), ()자를 고려(故廬), ()자를 태양이 빛이 없는 것[日無色]이라 하였으니 이는 무슨 이치인가?
() 자의 뜻은 악()이다.’ 한 것과, ‘()자의 모양을 보면 마치 개를 그려 놓은 것 같다.’ 한 것과, ‘()자는 두드린다는 뜻이다.’ 한 것이 어찌 공자의 말이겠는가?
()자를 마땅히 없어야 될 것이 있는 것이라고 해석하고, 《춘추(春秋)》에 일유식지(日有食之)라 한 것을 인용하였고, ()자를() 나라 곽씨(郭氏)의 구허(舊墟)이다. 곽씨가 선인(善人)을 착하게 여기면서도 등용하지 못하고 악인을 미워하면서도 물리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라를 잃었다.’ 하였으니, 초설(勦說)에 가까워서 그 본래의 뜻을 잃은 것이 아니겠는가?
()자를 옛 것을 본받는다는 뜻이라 하고, ()자를 복중(卜中), ()자를 죄지은 남자, ()자를 옷을 벗고 밭가는 것, ()자를 사람이 활을 가지고 모여서 짐승을 모는 것, () 자를 밭가는 철[耕時]을 놓친 것이라 하였으며, ()자를 칼을 잡고 욕설을 퍼부으며 꾸짖는 것, ()자를 불이 문()을 태운다는 뜻이라 하였고, ()자를 죄인이 집안에서 일하는 것, ()자를 16일에 달이 비로소 기울어 어두워 간다고 하였고, ()자를 칼을 가지고 우물을 지킨다는 뜻이라 하였으니, 천착하여 정리(情理)에 먼 것이 아니겠는가?
()을 풀이하여 상성(商星)이라 한 것은 천문(天文)과 맞지 않고, ()자를 풀이하여 경조(京兆) 두릉정(杜陵亭)이라고 한 것은 지리(地理)와 맞지 않는 것이다. 책 중에 인용한 낙랑(樂浪)의 사실 수십 조가 다른 경전에는 도리어 빠져 있으니, 이는 사실의 수집에 타당성을 잃은 것이다. 이제 학자들이 그 중 큰 것을 취하고 그 작은 것은 버리며 그 옳은 것만을 취하고 잘못된 것을 버린다면 《설문》을 잘 연구하는 자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였다.
왕망전(王莽傳)을 인용하여()자의 구성은 묘금도(卯金刀)로 되어 있다. 정월은 강해서 묘금도의 날카로움이 다 행해지지 않는다.’ 하고, 수명(受命)한 날인 정묘(丁卯), ()은 화()에 해당되니 한() 나라의 덕이고, ()는 유()씨의 성이니 이것이 유()자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이다.’ 하였다. 광무제(光武帝)가 하늘에 고하는 축문에는 참기(讖記)를 인용하여묘금(卯金)이 덕을 닦아 천자가 되었다.’ 하였다. 조환광(趙宦光)은 이르기를《설문》에는 유()자가 없고 다만 유()자만이 씌어 있는데 이제 《한서(漢書)》의 묘금도(卯金刀)의 참기와 현재 전해지고 있는 옛 인장(印章)을 상고해 볼 때 유씨 성이 수없이 많으나 모두 유()자로 씌어 있고 유()자로 된 것은 없다하였다. 위 명제(魏明帝) 태화(太和 227~232) 초기에 공경들이 아뢰기를노래로써 덕을 칭송하고 춤으로써 일을 상징하는 것인데, 글자로는 문()자와 무()자가 합하여 빈()자가 됩니다. 신등이 삼가 악무(樂舞)를 만들고 장빈무(章斌舞)라고 명명하였습니다.’ 하였는데, () 나라는 숙중(叔重)이 생존한 후한과는 멀지 않으니, 이로 보아 고대에도 빈()자가 없었던 것이 아니다. 서현(徐鉉)의 《교정설문(較正說文)》에는 앞에 빈()자를 배열하고이는 속서(俗書)이다.” 하였다. 또 《설문》원본의 차례는 볼 수가 없다. 현재 사성(四聲)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은 서현(徐鉉) 등이 정한 것이고, 반절(反切)도 서현 등이 추가한 것이다. 조고칙(趙古則)의 《육서본의(六書本義)》에 이르기를() 나라 이전에는 반절(反切)이 없어서 허씨의《설문》과 정씨(鄭氏)의 전주(箋注)에는 다만 아무 자와 같이 읽는다[讀若某]라고 하였을 뿐이다. 현재 《설문》의 반절은 바로 주고()가 손면()의 《당운(唐韻)》에 있는 것을 가져다 추가한 것이다.” 하였다. 널리 후유(後儒)들의 설을 인용한 것 중에서 두예(杜預)ㆍ배광원(裵光遠)ㆍ이양빙(李陽氷) 등의 유도 서현(徐鉉) 등이 추가한 것이고, 제가의 설 중에서 채록되지 않은 것을 이제 자운(字韻)의 뒤에 첨부한다.’ 한 것도 미()자 아래임 서현 등이 추가한 것이다. ()자 아래에 이르기를《설문》에는 바로 모()라고 썼다.” 하였다. 조환광(趙宦光)은 이르기를이를 자세히 검토해 보면《설문》은 여러 사람의 손에서 이루어진 것이 분명하니 어찌 무예(蕪穢)가 없을 수 있겠는가? 무릇 경전을 참정(參訂)할 때에는 반드시 본인의 이름을 앞에 실어야 전인들의 설과 혼동되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 ()자는 《설문》에여자의 처음이다[女之初也]’ 하였는데, 꼭 그렇다고 할 수도 없다. 그런데 서현은 이를지극하도다 곤()의 원기여! 만물이 이에서 시작된다한 것을 가지고 풀이하였으니, 그는 경문(經文)크도다 건()의 원기여! 만물이 이에 의해서 시작된다한 것을 모른 것이다. 만일 그의 풀이대로라면 반드시 남자라고 했어야 맞을 것이다.” 하였다.
이는 모두《설문》에서 사람에 관계되는 것을 풀이한 것 중에 잘못된 것의 예이다.
상고하건대, 허신(許愼) 자는 숙중(叔重), 소릉인(召陵人)으로서 효장()에 임명되었다. 은 한 화제(漢和帝) 때에 사주(史籒)ㆍ이사(李斯)ㆍ양웅(揚雄)의 저서를 채취하고 자학(字學)에 밝은 사람들에게 널리 묻고 가규(賈逵)의 고증을 받아서《설문》을 지었다. 14 5 40, 9 3 53자에 해설이 총 13 3 4 41자로서, ()자에서 시작하여 해()자에서 끝났는데, 만물의 근원을 구명(究明)하였다. 그의 아들 허충(許沖)이 건광(建光 한 안제(漢安帝)의 연호 121~122) 원년 9월 기해 삭() 20(무오)에 주상(奏上)하였다. 서개()는 이르기를건광 원년은 한 안제 15년인데 이해는 신유년(121)이다. 이는 숙중의 자서와 허충의 상서문(上書文)에 자세히 실려 있다.” 하였다.
() 나라 진대과(陳大科)의 《설문이동(說文異同)》에상고하건대,《설문》은 한 화제(漢和帝) 때에 허신이 지은 것으로 그의 아들 허충이 안제에게 올린 것이다. 이를 당() 나라 이양빙(李陽氷)이 간정(刊定)하였고, () 나라 초기에 서개()가 증정(增正)하였다. ()ㆍ지()ㆍ문()ㆍ흔()ㆍ개()자 같은 것은 빠지거나 잘못된 것을 서현이 비록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으나 이루 다 기재할 수 없었던 듯싶다. 또 필적이 약간씩 다른 것은 이 몇 개의 글자에 그치지 않는다. 서기성(徐騎省 이름은 현())이《설문》에서 빠진 글자인 조()ㆍ지()ㆍ건()ㆍ차()ㆍ추()ㆍ기()ㆍ척()ㆍ국()ㆍ잔()ㆍ저()ㆍ초()ㆍ여()ㆍ응()ㆍ삼()ㆍ치()ㆍ소()ㆍ아()ㆍ환()ㆍ봉() 19자와 속서(俗書)와 잘못된 것으로서 육서(六書)의 체에 맞지 않는 흔()자 등 28자를 교정하였는데, 현의 아우인 개()가 동시에 이에 주석을 달아 태종(太宗) 옹희(雍熙) 3(986)에 이를 국자감에 석각(石刻)하였다. 상고하건대, 이 책은 대력(大曆 당 대종(唐代宗)의 연호) 연간에 간정(刊訂)되고 옹희(雍熙) 연간에 증보하였으니 어찌 허씨(許氏)의 잘못이라고만 할 수 있겠는가? 또 구본(舊本)에는오음운보(五音韻譜)’라는 네 자가 있는데 허충의 상서문에 의하면 스스로 《설문해자(說文解字)》라고 칭하였다. 진직재(陳直齋 직재는 진손(陳孫)의 호)는 이르기를부서(部序) 2, 통론(通論) 3, 거요(袪要)ㆍ유서(類序)ㆍ착종(錯綜)ㆍ의의(疑義)ㆍ계술(系述)이 각기 1편인데 이는 서현이 지은 것이다.’ 하였고, 조환광(趙宦光)의 《설문장전(說文長箋)》에는허씨의《설문》은 15편으로서 일()자에서 시작하여 해()자에서 끝났는데, 서개와 서현이 당 나라 임금의 조칙을 받들어 그 차서를 변동시켜 5 40개의 부수를 사성(四聲)의 운에 따라서 선후를 정하여 그 모부(母部) 소속 글자는 반드시 운에 의거 배열하여 동()자에서 시작하여 갑()자에서 끝나게 하고,《설문해자오음운보(說文解字五音韻譜)》라고 하였는데, 세상 사람들이 아래의해자오음운보 6자를 빼놓고《설문》이라고 읽으면서 그것이 잘못인 줄을 모른다. 《설문》은 현재 전서(全書)가 없고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서현본(徐鉉本)이다.’ 했다.” 하였다.
() 나라 주양공(周亮工)의 《인수옥서영(因樹屋書影)》에모자진(毛子晉)의 집에 송판본(宋板本)인 허씨의《설문》이 있는데, 지금 세상에 전하고 있는 것과는 매우 다르다. 허숙중(許叔重)의 구본은 바로 글자의 획수로써 부()를 나눈 것으로, ()자에서 시작하여 해()자에서 끝났는데, 전체를 15권으로 나누었고, 현재 전하는 판본은 바로 심약(沈約)의 운()을 따라서 편차한 것이다. 또 부()로써 분류해 넣은 것은 바로 송() 나라 이도(李燾)가 서기성(徐騎省)의 것을 개정한 본이다. 원 나라 때 탕성홍(湯聖弘)이 허신의 원본《설문》을 판각하였는데 아깝게도 불에 타서 훼손되었다 한다.” 하였다.
내가 상고하건대, 숙중의《설문해자》이후로 당()ㆍ촉()ㆍ이()ㆍ서()가 도합 13가인데, 첫째《한간설문(汗簡說文), 둘째 《연설문(演說文), 모두 그 지은이의 성명을 알 수 없다. 셋째, 오숙(吳叔)의 《설문오의(說文五義), 넷째 이양빙(李陽氷)의《설문간정(說文刊定), 다섯째 이등(李騰)의《설문자원(說文字原) 1, 여섯째 서개()의《설문계전(說文繫傳) 38, 일곱째 서현(徐鉉)의《설문보(說文譜) 12, 여덟째《설문간정(說文刊定) 15, 아홉째 승려 담역(曇域)의《보설문(補說文) 30, 열째《설문음은(說文音隱) 4, 열한째《당본설문(唐本說文), 열두째 《촉본설문(蜀本說文), 열셋째 낭희로(郞稀魯)의 《설문보의(說文補義)》이다. 이 외에 또 명() 나라 조환광(趙宦光)의 《설문장전(說文長箋) 40, () 나라 장정석(蔣廷錫)의《설문자원표(說文字原表) 1, 오조(吳照)의 《설문편방고(說文偏旁考) 2권이 있는데 이는 모두 참고할 만한 것들이다.
《한간(汗簡)》은 왕사정(王士禎)의《한간》발문에곽충서(郭忠恕)가 지은《패휴(觿)》와《한간》두 책은 모두《송사(宋史)》 예문지(藝文志)에 기록되어 있으나,《한간》은 지금 세상에 전하지 않는다. 현재 수수 주씨(秀水朱氏)가 초본(鈔本) 6권을 소장하고 있는데 오문(吳門)에서 새로 판각한 것으로서 고본(古本)에 가까워 보배로운 것이다. 표면에 이건중(李建中)한간이라고 쓴 것이 있고 지은 이의 성명도 빠진 것이 없으니, 이로써 동해(東海) 서기성 현(徐騎省鉉)을 알 수 있다. 곽충서(郭忠恕)가 이 책을 지을 때에 참고한 것이《고문상서(古文尙書)》이하 총 71()나 되는데, 조범부(趙凡夫)가《한간》은 지은 이를 모른다고 한 것은 어째서일까?” 하였다.
() 나라 방중리(方中履)의《고금석의(古今釋疑)》에는 다음과 같이 논하였다.
“《설문》 이후로 진() 나라 동래군(東萊郡)의 견령() 여침(呂忱)이 이를 이어《자림(字林)》을 지어 그 누락된 것을 보충하였고, 승려 운승(雲勝)이 이에 주를 달았는데 현재도 왕왕《설문》에 부록된 것이 보인다. 이손암(李巽巖)은 이르기를고문(古文)ㆍ주문(籒文)은 아마도 여침(呂忱)이 처음으로 증입(增入)시킨 것 같다.” 하였다. () 나라 고야왕(顧野王)이 다시《설문》을 따라《옥편(玉篇)》을 만들었는데 그 글자 수는 더욱 증가되었으나, 숙중(叔重)은 오로지 전서(篆書)로만 썼었고 야왕(野王)은 예서(隷書)를 섞어 써서 다시《설문》의 옛 면모를 찾을 수 없게 되었다. () 나라 대력(大曆) 연간에 이양빙(李陽氷)이 특히 전학(篆學)으로 명성을 얻어 이에《설문》을 간정(刊定)하였고, 남당(南唐)에 이르러 서 초 금 개(徐楚金 초금은 자임)가 이를 다시 정정하여《설문계전(說文繫傳)》을 지었는데, 그는 대체로 허씨의《설문》을 경서와 같이 존중하였다.
() 나라 옹희(雍熙) 3년에 개()의 형인 서현(徐鉉)이 조서를 받들어《설문》을 상교(詳較)할 때에 처음으로 손면()의《당운(唐韻)》의 음절(音切)을 채택하였는데, 지금 세상에 통행되는 것은 바로 서본(徐本)이다.
《범장편(凡將篇)》과《훈찬편(訓纂篇)》은 모두 없어지고 한() 나라 서적 중에《설문》만이 남게 됨으로써 고고(考古)의 원유(苑囿 연총(淵叢))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서(二徐 서현(徐鉉)ㆍ서개()) 이외에 장유(張有) 《복고편(復古編)》 ㆍ곽충서(郭忠恕) 《패휴(觿)》 와 근대에 이르러 조휘겸(趙撝謙) 《육서본의(六書本義)》 ㆍ시광진(柴廣進) 《성음문자통(聲音文字通)》 ㆍ조환광(趙宦光) 《설문장전(說文長箋)》 ㆍ이등(李登) 《서문음의편고(書文音義便考)》 은 모두 《설문》을 따르고, 《설문》이 실로 빠지고 중복되고 잘못 풀이된 것이 많은 줄을 몰랐으니, 어찌 다 좇을 수 있겠는가? 정강성(鄭康成 강성은 정현(鄭玄)의 자)은 숙중(叔重)과 동시대 사람이면서 곧 이를 논박하였고, 유원위(庾元威)허신(許愼)은 가씨(賈氏 가규)의 학문을 천착하여 이에 《설문》을 지어 상주하였다하였으니, 어찌 이소온(李少溫 이름은 양빙(陽氷))ㆍ정어중(鄭漁仲 이름은 초())ㆍ양신천(楊辛泉)ㆍ대합계(戴合溪)ㆍ위자재(魏子才)ㆍ오경보(吳敬甫) 등의 지적을 기다리겠는가? 그러나 허신의《설문》을 존중하는 자들은 이리저리 둘러 맞추는 자들이 많다. 나는 《통아(通雅)》에서 이렇게 논했다.
()자는 있으면서 조()자는 없고, (𢆷)자는 있으면서 묘()자는 없고, (▼(/)+)자는 있으면서 빈()자는 없고, ()자는 없으면서 엽()이라고도 쓴다 하였으니, 이러한 것은 그렇다 하더라도 유()자는 있으면서 유()자는 없고 다만 죽인다는 뜻으로 풀이한 유()자만 있으며, ()자는 한() 나라 임금의 성이니 허씨가 응당 죽인다는 뜻으로만 풀이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반드시 빠졌거나 생략된 부분이 있음이 분명하다.
()자는 없으면서 수()자는 타()를 따른다 하였고, ()자는 없으면서 초부(艸部)에 춘(), 충부(䖵部)에 준()자가 있다. ()자는 준()자의 고자(古字)이고, ()자는 즉 춘()자로서 모두 춘()을 따랐다. , ()자는 없으면서 거부(車部)에 종()자가 있고, ()자는 없으면서 규()자 아래에 규()자와 같이 읽는다 [讀若跬]하고, ()자는 없으면서 연(𪀝)자는 있으며, 여전절(輿專切)이니 이는 바로 연()자인데 《설문》에는 연()자가 없다. ()자는 없으면서 화부(禾部)에 희()자가 있고, ()ㆍ면()ㆍ면()ㆍ면()자가 모두 면성(免聲)이라 하면서 정작 면()자는 없고, 각부에 유성(由聲)이라고 인용하면서도 유()자는 없으니 오류(誤謬)가 아니면 어찌 잘못 전해진 것이 없다 하겠는가?
기타 이필(異筆)이면서 통용되는 글자를 번번이 반복해서 쓰고 거듭 풀이한 것으로는 고()자와 고(), ()자와 역()자는 모두 다른 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자()자와 자(), (𩠐)자와 수(𦣻)자의 관계와 같은 것 인데 하필 두 글자로 나누어 썼는가? 이 역()자는 한() 나라 법령에 역(), 혹은 역()이라 썼는데, ()ㆍ역()과 모두 같은 자이다. ()자를 나누어 다섯 가지로 하였고, ()자를 나누어 넷으로 하였으며, ()ㆍ국(𥷴)ㆍ국(𠣮)ㆍ국()ㆍ국(●)자는 동음(同音)인 이자(異字)이고 기()자를 기()자로 쓰고 또, (𢺵)ㆍ기(𠈮)라 썼는데 이는 발뒤꿈치를 드는 것을 말하고, ()는 발에 발가락이 많은 것[足多指]이요, ()는 갈래진 것을 말하는데, 다지(多指)는 마땅히 다기(多岐)로 써야 한다. ()자가 또 착()ㆍ착()이 있고, ()자가 또 주()가 있으며, ()자를 따랐다. 《서경》의 주자(疇咨)를 인용하면서 주자()라고 썼다. 서본(徐本)에는 멱()자가 있고 다시 인()이 있으며, ()자가 있고 또 천(𧗸)과 천()이 있다. (𧗸)자와 천()자는 모두 적()이라 한다.
()자를 나누어서 염()이라 하고 저()라고 한 것도 같은 예이며, ()자와 연()자를 양쪽으로 실어서 분명히 중복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씨(戴氏)는 이르기를()자의 뜻은 두 가지로 쓰이나, 글자의 모양은 같으니 마땅히 한 글자에 모아 기록했어야 할 터인데 무슨 이유로 양쪽에 나타내어 염초(染草)라고도 하고 과저(瓜菹)라고도 했는가? 과저는 오이김치[]이다. , 남문()이 있으니 구부(口部)에 우()자가 있는데 경()이라 하였고, 우부(于部)에 또 우()자가 있는데 놀랐을 때 하는 말이라 하였고, ()자는 사모한다는 뜻이고 또 난(𡡗)은 순종한다는 뜻이라 하였다. ()자를 고문으로서 역윤절(力沇切)이라고 하였는데 사실 연(孿)자ㆍ연()자와 음과 뜻이 서로 통하는 것이다.” 하였다.
()자와 원(𡟰)자를 무슨 이유로 완()자와 분리하였으며, ()자와 보()자에는 번갈아 가며 고문(古文)이라고 인용하였는가? 글자를 풀이하여 의미를 밝힌 것은 더구나 견강부회한 것이 많은데 그 중에서 12()과 같은 것은 구생지해(俱生支)이다. ()자를 금생화사(金生火死)라 하여 내()자를 따랐고 이삭[]이 있는 것으로 사()를 따랐다 하였고, ()자를 돼지가 달아나는 것[豚走], ()자를 도생(逃省), (辠辠)자를 코를 찡그리는 것[蹙鼻], ()자를 합조(合爪), ()자는 풀[]에서 본뜬 것이라 하고, ()자를 형화소문(熒火燒門), 배가 양쪽 언덕에 잇닿은 것이 호()자요, 몸이 변하여 하늘에 오르는 것이 진()자라 하였으니, 어쩌면 이다지도 쓸데없이 많은 말을 한단 말인가? 손서(孫徐 손면ㆍ서현)가 망령되이 해석하고 음()을 지어낸 것은 더욱 그들이 근거한 것 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고문(古文)이 이미 오랜 세월이 흘러 저절로 의전(疑傳)이 있게 되고 초록(抄錄)을 거치면서 착간(錯簡)이 없을 수 없는 것인데도 후세의 호사가가 그 의전(疑傳)과 착간에 대해 곡설(曲說)을 지어 냈으니 다시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설문》은 본래 견령(令 여침(呂忱))이 추가한 것과 운승(雲勝)이 주를 지은 것, 초금(楚金 서개()의 자)이 풀이한 것이 많았는데 이제 모두 유실되었고, 황직옹(黃直翁 직옹은 공소(公紹)의 자)의《고금운회거요(古今韻會擧要)》에 인용한 것과 왕백후(王伯侯 백후는 응린(應麟)의 자)가 인용한 것과《고이(考異)》에 인용한 것은 대부분 현존하는 본이 아니다. 합계(合溪)는 걸핏하면 당본(唐本)ㆍ촉본(蜀本)ㆍ서본(徐本)을 인용하였는데, 오정의(吳正儀)의《설문》은 또 이와 다르니, 마땅히 다른 책에 인용된 것을 수집하여 참고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잔결(殘缺)된《설문》을 고수(固守)해 무엇하랴!
또 《설문》에서 경전을 인용한 것이 본자(本字)가 아닌 것이 많으니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일주서(逸周書)》에 있는 구장()과 사분민지산(士分民之), 주서(周書)의 유묘유계(有稽) ()는 깃술[旄絲] 이다. ㆍ잔잔교언(戔戔巧言) 같은 것은 유문(遺文 일문(逸文))이니 말할 것도 없고,《주역》에서 인용한 서건자(噬乾𦚙)와 승마진여(乘馬), 《좌전(左傳)》에서 인용한 발이온숭지(發以蘊崇之)와 이비진삼각(以備陳三), 《맹자》의 경석(), 《시경》의 기마기도(), 주서(周書)의 왕삼숙 삼제 삼도(王三宿三祭三㓃) 당고절(當故切) 는 고문이니 혹 이렇다 치더라도 그 외에 항룡(亢龍)의 항()자를 항()이라 쓰고, 재삼독(再三瀆)의 독()자를 독(), 기우체(其牛)의 체()자를 체(), 풍기옥(豊其屋)의 풍()자를 풍(), 복우승마(服牛乘馬)의 복()자를 비(), 천지인온(天地絪縕)의 인온(絪縕)을 일운(), 적상(的顙)의 적()자를 적(), 오품불손(五品不遜)의 손()자를 손(), 조화분미(藻火粉米)를 조분미(璪黺䋛), 강색(剛塞)의 색()자를 색(), 병경(缾罄)의 경()자를 경(𥥻), 훤초(諼艸)를 훤초(), 계여지족(啓予之足)의 족()자를 다(), 여유소립탁이(如有所立卓爾)의 탁이(卓爾)를 태작(𡗓𥢔), 적왕소개(敵王所愾)의 개()자를 해(), 비서(費誓)를 비서(), 범부(凡夫)는 굉자비(宏玆粃)를 인용하였다.양암(諒闇)을 양음(𣄴), 원수총좌(元首叢)의 총좌()를 총솨(叢䐝) 서현(徐鉉)은 유(𥉢)자로 썼다.회변(會弁)을 괴변(䯤弁), 아흥수기패(我興受其敗)의 패자를 패(), 잡이불월(雜而不越)의 월자를 월(), 기미차종(旣微且)의 흉자를 종(𤺄), 증점(曾點)의 점자를 감(), 언언(言偃)의 언자를 언(), 유능비예(有能俾乂)의 예자를 예(), 아지불피(我之弗辟)의 피자를 벽(𨐨), 비음식(菲飮食)의 비자를 비(), 언말기마(言秣其馬)의 말자를 말(), 상백(常伯)의 백자를 백(𤽐), 필작오복(弼作五服)의 필자를 필(𠨒), 설구장(褻裘長)을 설의장(衣長), 훼종엽행(毁宗躐行)의 엽자를 엽(●), 유가지색(惟家之索)의 색자를 색(𡩡), 일융의(壹戎衣)의 일자를 예(●), 이륜유두(彛倫攸斁)의 두자를 두(●), 슬피옥찬(瑟彼玉瓚)의 슬자를 슬(), 진진로(振振鷺)의 진자를 진(), 면류(冕旒)의 유자를 유(), 함옥(含玉)의 함자를 함(), 솔순(率循)의 솔자를 솔(), 장솔(將率)의 솔자를 솔(𧗿), 고골(枯骨)의 고자를 고(𣧮), 방량(厖凉)의 방자를 방(●), 궤란(𤃘)의 궤자를 궤(●), 대부사왈졸(大夫死曰卒)의 졸자를 졸(𣨛), 면목여흑(面目)의 여자를 여(), 신주(神主)의 주자를 주(), ()자를 기(), ()자를 석(), 별성(別盛)의 성자를 성(), 별연(別然)의 연자를 연()이라고 한 따위는 이루 다 셀 수 없을 정도다. 이는 모두 하나의 뜻이 있으면 그에 해당되는 하나의 글자로써 해석하여 구별한 것이다.
, ()자의 풀이를 우서(虞書)에 준견회거천(䜭畎澮距川)이라 한 것을 인용하고, ()자를 풀이하면서도 이 글을 인용하여 준()이라 썼으며, ()자에는 정녀기주(靜女其)를 인용하고 주(𡚾)자에도 이를 인용하였고 또 별도로 주()자가 있는데 좋다[]는 뜻이다. 질질(秩秩)을 혹은《시경》을 인용하여 질질(●●)이라 쓰기도 하고, 질질(豑豑) 또는 질질(袟袟)이라고 썼으며, ()자를 요()라고도 인용하고 요()라고도 썼다. 기기(几几)를 인용하면서 견(), 또는 기()라고 썼으며 옹(𤮪) 이농절(而隴切) 자를 우렵위고(羽獵韋)라 하고 혹은 용(𧝻)이라 쓰면서《서경》의 조수용모(鳥獸𧝻)를 인용하고, 또 용(𣯍)이라고 쓰고는 다시《서경》을 인용하면서 용모(𣯍)라고 썼다.
()자에는《시경》을 인용하여 강유사(江有汜)라 하는가 하면 사()자에도《시경》을 인용하면서 강유사(江有)라 하였고, ()ㆍ은()ㆍ호(𦱄) 세 자를 통틀어 강하(江夏)에 있는 정자의 이름이라 하였다. ()자를 풀이하여 엷어진다[]는 뜻이라 하면서 사적유유(私覿愉愉)를 인용하였고, ()자를 병장[]이라 하였으니 반드시 그 아래에 있는 수색(樹塞)을 잘못 쓴 것이요, 석척약인(夕惕若夤)은 바로 간()괘의 열인(列夤)의 인()자를 합한 것이다. ()자는 일()자를 따르고 횡()자는 구()자를 따랐으며, ()ㆍ지()ㆍ봉()ㆍ면() 등의 글자는 주()를 서술한 데만 있고 본문에는 그 자가 없으니 누락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겠는가?
상고하건대, 숙중(叔重)의 시대에는 이미 석경(石經)이 간정(刊定)되었는데, 어찌 이다지도 다른가? 대체로 한() 나라 이후로 명물(名物)과 사건이 많이 새로 발생하여 명칭이 혼동되기 쉬우므로 차츰 그것을 구별하여 혹은 그 음을 바꾸고 혹은 변()이나 방()을 더하기도 하였다.
자학(字學)을 전공하는 학자들은 드디어 한 글자마다 각기 한 가지 뜻만을 갖게 하고자 하여, 육조(六朝)와 당() 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증가한 것이 무수하였고, 사부(詞賦)를 지으면서 창조된 기이한 글자와 잘못 쓴 글자를 널리 모아 한데 묶어 수집하여, 중복되고 난잡하고 누락되며 번쇄(繁屑)한 것을 모두《설문》에 부록하였다.
() 나라 말기를 당하여 허씨는 분별해서 말하기를 좋아한 사람이었으나, 중고 이후로는 부득이 이를 전요(典要)로 삼지 않을 수 없었을 뿐이다. 그러나 그는 전혀 육서(六書) 고문의 자원(字原)을 몰랐으므로 한 나라 때에 습관적으로 쓰던 것과 증개한 것들을 인습하여 편집해 놓은 것에 불과할 뿐이다. 이제 그 잘못된 것을 상고해 보면 많아서 다 지적할 수 없을 정도인데도《설문》을 높이는 자들은 자기의 저서를 또한《설문》이라 하니, 이는 동시에 쓴 것이 아니면 이해될 수 없는 것이다. ()ㆍ원() 이후로 여러 학자들이 변론하여 배척한 것이 무엇이 괴이하랴!
그러므로 위매(魏枚) 《육서정온(六書精蘊)》 ㆍ왕응전(王應電) 《동문비고(同文備考)》 ㆍ오원만(吳元滿) 《소원정의(溯原正義)》ㆍ《육서총요(六書總要)》 ㆍ주모위(朱謨㙔) 《기자(奇字)》 는 다시 정초(鄭樵) 《육서략(六書略)》 ㆍ양환(楊桓) 《육서통(六書統)》 ㆍ대통(戴侗) 《육서고(六書考)》 ㆍ주백기(周伯琦) 《육서정위(六書正譌)》 를 바탕으로 고문(古文)을 추구(推究)하여 소전(小篆)의 잘못을 바로잡기에 온 정력을 다 하였는데도 조범부(趙凡夫)는 또 정()ㆍ대()ㆍ위()ㆍ오()를 배격하였으며, 그가 지은《설문장전》은 한결같이 서현본(徐鉉本)《설문》을 주축으로 하였으니 그가 어찌《설문》이 온전한 허씨의 책이 아님을 알았겠으며, 또 어찌 허씨의 학이 온전한 한학(漢學)이 아니었음을 알았겠는가? 다만 자재(子才 위매(魏枚)의 자)의 무리들은 임의로 글자를 만들어 억설을 면하지 못했으니 참으로 옛것을 잘 지킨 것만도 못하다.
그러나 범부(凡夫)의 예()자와 방()자에 대한 억설이야 또 말해 무엇하랴! 《설문장전(說文長箋)》에()자를 반드시 예()자로 쓰라.”고 한 주에반드시 예()로 써야 한다.” 하였고, ()자는 호(𡥆), ()자는 상(), ()자는 필(), ()자를 중()으로, ()자를 방()으로, ()을 지()로 썼는데, 우선 그 중 한두 가지를 검토해 보겠다. ()자는 본래 이기()를 가리키는데 음이 이()이다. 그런데 야()자를 조사로 쓰기 때문에 이()자로 써서 구별하였고, ()자는 본래 광()자를 쓴 것으로서 고문(古文)에는 방()자를 방()이라 썼는데, 너무 간단하므로 방()이라 쓴 것이다. 이제 수천 년을 상용한 야()자와 방()자를 쓰지 않고 새로 예()와 방()으로 써야 하겠는가? 그러므로 범부(凡夫)가 어지럽게 고친 것과 위오(魏吳 위매(魏枚)ㆍ오원만(吳元滿)을 이름)가 새로 창조한 것은 그 병폐가 다를 것이 없다.
학자는 마땅히 석경(石經)과《사기》ㆍ《한서(漢書)》를 따르고 널리 제자백가(諸子百家)를 가지고 고증함으로써 고인(古人)의 뜻을 알아내는 것이 옳다. 금석(金石)인 한비(漢碑)와 통하는 것을 어찌 반드시 억지로 맞추어야 하겠으며,《설문》에 중복된 글자를 또 어찌 억지로 나누어야 하겠는가?”
나는 상고하건대, 서기성(徐騎省)의《오음운보(五音韻譜)》는 숙중(叔重)의《설문》원본을 가져다가 부거(部居)를 바꾸고 음절(音切)을 고쳐서 따로 이 책을 만들었는데, 단지 검토에는 편리하나 뜻은 제가(諸家)의 것을 그르쳤다. 이것이 유통하므로 세상에서 마침내 이것을 허씨의《설문》이라 여기니 잘못이다. 그리하여 서본(徐本)이 나오자 허본(許本)은 사라지게 되었다.
숙중본은 일()자에서 시작하여 해()자로 끝났고, 정신본(鼎臣本 정신은 서현의 자)은 동()자에서 시작하여 갑()자에서 끝났으니, 현재 통행본은 바로 서씨가 지은 것이다.
한산(寒山) 조범부(趙凡夫) 같은 이는 다시 그의 잘못을 답습하여《장전(長箋)》을 저술하고 제목을《설문》이라 한 것은 왜일까? 그가 스스로 《장전》이라고 쓴 것으로 보아서, 스스로 허씨의 원본이 아님을 알면서도 억지로 《설문》이라 명명한 것이다. 그러므로다만 기성(騎省)의 운보(韻譜)는 비록 숙중의 본지는 아니나 검색에는 편리하므로 《장전》에서 모두 그 차서를 따르고 다만 그의 자구(字句)를 그르친 것과 음절(音切)을 바꾼 것 등에 대하여 원본을 고찰하여 간정(刊定)하였다.” 한 것이다.
그런데 고정림(顧亭林)은 이를 논박하여만력(萬曆) 말년에 오중(吳中) 사람 조범부 환광(趙凡夫宦光)이《설문장전》을 지었는데, 예부터 전해오는 오경(五經)을 자기 생각대로 간개(刊改)하여 작은 지혜를 가지고 선유(先儒)들과 다른 것을 구하기를 좋아하였다. 그리하여 청청자금(靑靑子衿)을 음분(淫奔)을 읊은 시라 하여 금()자는 바로 금()자라 하였는데, 《시경》에 본래 금()자가 있으니, 포금여주(抱衾與裯)라고 한 것과 금금난혜(錦衾爛兮)라 한 것이 이것이다. 이와 같은 것이 하나 둘이 아니다. 그는 사실 사서(四書)도 제대로 외지 못해서 《논어》의 호시출어합(虎兕出於柙)을 인용하면서《맹자》의 호표출우갑(虎豹出于甲)’이라고 잘못 쓰기까지 하였다. ()자 아래에 보임 그러나 그는 육서(六書)의 본지에 대하여는 관견(管見)이 없지 않았는데, 마침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괴이한 것을 숭상하는 시대를 만나 이 책이 세상에 성행하여 지금까지 분변하지 못하니, 후일에 잘못된 것에 젖어 옳은 것을 그르다 하여 후세의 학자들에게 해가 됨이 적지 않을까 염려되므로 그 특히 잘못된 10여 가지를 지적하여 바로잡는다.” 하였는데, 이제 그 모두를 초록할 겨를이 없다.
《설문장전》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모두 4, 40권으로서 강도(江都 강화도) 행궁(行宮)과 홍계희(洪啓禧)ㆍ재상 김치인(金致仁)ㆍ초재(蕉齋) 심염조(沈念祖)의 집에 소장되어 있다. 그러나 역부(𩰲) 이하 식부(食部)에서 갑부(甲部)까지 25부가 모두 누락되었는데, 위에 든 네 곳에 소장된 것이 모두 같으니, 아마 중국의 판본이 이와 같이 낙질된 모양이다. 아울러 기재하여 후세의 《설문》을 독실히 논하는 자들이 깊이 연구하기를 기다린다.
《설문》에 인용된 글이 육경(六經)과 다른 데 대하여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설문》에 인용된 경전은 바로 당시의 이본(異本)이다. 그러므로 숙중(叔重)은 다만 자기 집안에서 읽은 책만을 가지고 기재하고 다른 판본까지는 미치지 못한 것이다. 어떻게 그런 줄을 아느냐 하면, 그 한 예로《한서》채옹전(蔡邕傳)채옹의 자는 백개()로 영제(靈帝) 때 낭중(郞中)에 임명되어 동관(東觀)에서 교서(校書)하다가 의랑(議郞)으로 전직되었는데, 경적(經籍)은 성인이 지은 지 오랜 세월이 흐르매 글자가 많이 잘못되었고, 속유(俗儒)들이 이를 천착하여 후학을 그르친다고 생각하여 희평(熹平 한 영제(漢靈帝)의 연호. 172~177) 4년에 오관중랑장(五官中郞將) 당계전(唐谿典), 광록대부(光祿大夫) 양사(楊賜), 간의대부(諫議大夫) 마일제(馬日), 의랑(議郞) 장순(張馴)ㆍ한열(韓說), 태사령(太史令) 선양(單颺) 등과 함께 육경(六經) 문자를 정정(正定)할 것을 주달하자 영제가 이를 허락하므로 옹이 직접 비석에 쓰고 석공(石工)을 시켜 새겨서 태학(太學) 문 밖에 세웠다. 이에 후배 학자들이 모두 이를 표준으로 하여 오류(誤謬)를 바로잡았다. 비석이 처음 세워지자 구경꾼과 사본(寫本)을 뜨는 자들의 수레가 매일 천여 량이나 모여 거리를 메웠다.” 하였으니, 석경이 정해지기 전에는 육경의 문자가 사람마다 각기 달랐으므로 옹이 이러한 요청을 해서 정정하였던 것이다. 그러니 숙중이 인용한 경전이 어찌 다름이 없을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 하나의 증거이다. 또 《후한서(後漢書)》 유림전(儒林傳)의 서문에본초(本初 한 환제(漢桓帝)의 연호) 이후로 유학(游學)이 증가하여 태학생이 3만여 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장구(章句)는 점차 소홀히 하고 대부분 문장만을 숭상하여 선비의 기풍은 더욱 쇠퇴하였다. 당인(黨人)이 제거될 때 고명선사(高名善士)들이 대부분 연좌 유폐(流廢)되자, 이후에는 마침내 서로 다투고 고소하는가 하면 또 사사로이 뇌물을 써서 난대칠서경자(蘭臺漆書經字)를 자기들의 사문(私文)과 합치하게 만드는 자까지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희평(熹平) 4년에 영제(靈帝)가 마침내 여러 학자들에게 명하여 오경을 정정하여 비석에 새기되, 고문(古文)ㆍ전서(篆書)ㆍ예서(隷書) 3체 서법으로 써서 태학문에 세워서 모든 사람들이 표준으로 삼게 하였다.” 했으며, 주에고문(古文)은 공자의 벽중(壁中)에서 나온 글이고, 전서(篆書)는 진 시황(秦始皇)이 정 막(程邈)을 시켜서 만든 것이며, 예서(隷書)도 역시 정막이 바친 것인데, 도예(徒隷)들을 다스리는 데 썼으므로 간편함을 따른 것이다.” 하였다. 이순전(李巡傳)에도 나타나 있다. ()은 여양(汝陽) 사람으로 영제(靈帝) 때에 환관이 되었다. 순은 모든 박사들이 갑을과(甲乙科)를 시험하면서, 서로 고하(高下)의 등급을 다투는가 하면 서로 고발하고 심지어는 뇌물을 써서 난대칠서경자(蘭臺漆書經字)를 자기들의 사문(私文)과 맞추려는 자까지 있다 하여 황제에게 아뢰어 모든 학자들과 함께 오경(五經) 문자를 돌에 새겼다. 이로부터 오경이 한번 정해지자 다투는 자들이 없게 되었다. 이것을 가지고 상고해 보면, 이보다 앞서 모든 학자들이 오경 문자의 사기(私記)를 가지고 있었는데 각기 이동(異同)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니, 이것이 또한 한 가지 증거이며, 또 황백사(黃伯思)의 《동관여론(東觀餘論)》을 상고해 볼 때 한석경(漢石經)이 금문(今文)과 같지 않은 것이 또 한 가지 증거이다. 상고하건대, 만사동(萬斯同)의 〈한위석경잔비(漢魏石經殘碑)〉에는 현재 경전의 문자와 다른 것이 많으니, 숙중(叔重)이 인용한 경전의 글자가 다른 것이 뭐 족히 의심스럽겠는가.
또 고염무는 말하기를오경(五經) 문자가 같지 않은 것이 많다. 같은 한 경이면서도 다른 것이 있으니 이를테면, 상심(桑葚)은 위시(衛詩)에 보이는데 노송(魯頌)에는 심()자로 되었고, 창궁(鬯弓)은 정풍(鄭風)에 나타났는데 진풍(秦風)에는 창()자로 되었으며, 같은 《좌전(左傳)》에서 초() 나라의 기사에 있어 위씨()를 혹은 위씨(蔿氏), 잠윤(箴尹)을 혹은 침윤(鍼尹)이라 했다.” 하였다. 〈경전을 기재하면서도 이러하였는데〉 하물며 종정(鍾鼎)에 기재된 문자와 제유(諸儒)들이 기록한 것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예기》의서동문(書同文)’이라 한 것은 또한 그 대략을 말한 것이다. 나는 이로써 숙중(叔重)의 《설문》에 경을 인용한 것이 다르게 된 것을 증명한다. 석고문(石鼓文)의 주에, “《설문》에 남아 있는 주서(籒書) 2 3자인데 석고에는 겨우𤔲’ㆍ‘𠰎’ㆍ‘●’ㆍ‘●’ㆍ‘𠟭’ㆍ‘雩’ㆍ‘𠁩’ 등 9자만 있다.” 하였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