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4월 12일 목요일

사마담(司馬談)의 논육가요지(論六家要旨)

  太史公學天官於唐都,[一]受《易》於楊何,[二]習道論於黃子。[三]太史公仕於建元、元封之閒,愍學者之不達其意而師悖,[四]乃論六家之要指曰:
[一] 正義〈天官書〉云「星則唐都」也。
[二] 集解徐廣曰:「菑川人。」
[三] 集解徐廣曰:「〈儒林傳〉曰黃生,好黃、老之術。」
[四] 正義「布內」反。顏云:「悖,惑也。各習師書,惑於所見也。」

  《易.大傳》:[一]「天下一致而百慮,同歸而殊塗。」夫陰陽﹑儒﹑墨﹑名﹑法﹑道德,此務為治者也,直所從言之異路,有省不省耳。[二]
      嘗竊觀陰陽之術,大祥[三]而忌諱,使人拘而多所畏;[四]然其序四時之大順,不可失也。
      儒者博而寡要,勞而少功,是以其事難盡從;然其序君臣父子之禮,列夫婦長幼之別,不可易也。
      墨者[五]儉而難遵,是以其事不可徧循;[六]然其彊本節用,不可廢也。
      法家嚴而少恩;然其正君臣上下之分,不可改矣。
      名家使人儉而善失真;[七]然其正名實,不可不察也。
      道家使人精神專一,動合無形,贍足萬物。[八]其為術也,因陰陽之大順,采儒墨之善,撮名法之要,與時遷移,應物變化,立俗施事,無所不宜,指約而易操,事少而功多。
     儒者則不然。以為人主天下之儀表也,主倡而臣和,主先而臣隨。如此則主勞而臣逸。至於大道之要,去健羨,[九]絀聰明,[一○]釋此而任術。夫神大用則竭,形大勞則敝。形神騷動,欲與天地長久,非所聞也。
[一] 集解張晏曰:「謂《易.繫辭》。」 正義張晏云「謂《易.繫辭》」。案:下二句是〈繫辭〉文也。
[二] 索隱案:六家同歸於正,然所從之道殊塗,學或有傳習省察,或有不省者耳。
[三] 集解徐廣曰:「一作『詳』。」駰案:李奇曰「月令星官,是其枝葉也」。 索隱案:《漢書》作「大詳」,言我觀陰陽之術大詳。而今此作「祥」,於義為疏也。 正義顧野王云:「祥,善也,吉凶之先見也。」
[四] 正義言拘束於日時,令人有所忌畏也。
[五] 正義韋云:「墨翟之術也,尚儉,後有隨巢子傳其術也。」
[六] 索隱「徧」音「遍」。徧循,言難盡用也。
[七] 索隱案:名家流出於禮官。古者名位不同,禮亦異數,孔子「必也正名乎」。案:名家知禮亦異數,是儉也;受命不受辭,或失其真也。
[八] 索隱「贍」音「巿豔」反。《漢書》作「澹」,古今字異也。
[九] 集解如淳曰:「『知雄守雌』,是去健也。『不見可欲,使心不亂』,是去羨也。」
[一○]索隱如淳曰:「『不尚賢』,『絕聖釟智』也。」

    夫陰陽四時﹑八位﹑十二度﹑二十四節[一]各有教令,順之者昌,逆之者不死則亡,未必然也,故曰「使人拘而多畏」。夫春生夏長,秋收冬藏,此天道之大經也,弗順則無以為天下綱紀,故曰「四時之大順,不可失也」。
무릇 음양가의 사시, 팔위, 십이도, 이십사절기라는 각각의 교령을 두어, 이를 따르면 창성하고 이를 거스르면 죽지 않으면 망하게 된다고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고로 사람을 구속하고 위협함이 많다고 한 것이다. 봄에 나고 여름에 커서 가을에 거 두고 겨울에 저장함은 천도의 큰 경륜으로 이를 쫓지 않고서는 천하의 강기를 이룰 수 없기에 사시의 대순을 잃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一] 集解張晏曰:「八位,八卦位也。十二度,十二次也。二十四節,就中氣也。各有禁忌,謂日月也。」

    夫儒者以六蓺為法。六蓺經傳以千萬數,累世不能通其學,當年不能究其禮,故曰「博而寡要,勞而少功」。若夫列君臣父子之禮,序夫婦長幼之別,雖百家弗能易也。유자는 육예를 법으로 삼는데, 육예의 경전은 천만수로 누대에 걸쳐도 그 배움에 통달할 수 없고, 당대에도 그 예를 모두 궁구할 수 없기에 넓지만 그 요체를 얻는 자가 적고, 수고로우나 공이 적다고 말한 것이다. 군신 부자의 예를 벌리고, 부부장유의 구별을 펴는 따위는 비록 백가라도 바꿀 수 없다.

    墨者亦尚堯、舜道,言其德行曰:「堂高三尺,[一]土階三等,茅茨不翦,[二]采椽不刮。[三]食土簋,[四]啜土刑,[五]糲粱之食,[六]藜霍之羹。[七]夏日葛衣,冬日鹿裘。」其送死,桐棺三寸,[八]舉音不盡其哀。教喪禮,必以此為萬民之率。使天下法若此,則尊卑無別也。夫世異時移,事業不必同,故曰「儉而難遵」。要曰彊本節用,則人給家足之道也。此墨子之所長,雖百長弗能廢也。
묵가는 또 요순의 도를 숭상하고 그 덕행을 말하여 이르길: 「고당이 삼척이며 흙계단이 3단이며 띠풀은 자르지도 않고 서까래는 다듬지도 않았네. 흙그릇에 밥 먹고, 흙 접시에 국물 먹어 거친 잡곡과 명아주 국을 먹네, 여름이면 갈옷을 입고 겨울이면 사슴 가죽을 걸치네.」 그 장례는 동관이 삼촌이요 곡소리도 그 슬픔을 다하게 하지 않는다. 상례를 가르침에 반드시 이로쏘 만민의 표준을 삼았다. 천하의 법이 이와 같아면 존비가 구별되지 않을 터인데 세대와 시속이 다르고 사업이 반드시 같지 않기에 「검박하여 쫓기 어렵다」고 한 것이다. 허나 요컨대 근본을 공고히 하고 씀씀이를 아낀 즉 백성의 수요와 공급을 넉넉히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묵자의 장점은 백가나 없앨 수 없는 것이다. 
[一] 索隱案:自此已下韓子之文,故稱「曰」。
[二] 正義屋蓋曰茨,以茅覆屋。
[三] 索隱韋昭云:「采椽,櫟榱也。」 正義採取為椽,不刮削也。
[四] 集解徐廣曰:「一作『塯』。」駰案:服虔曰「土簋,用土作此器」。
[五] 正義顏云:「簋,所以盛飯也。刑,所以盛羹也。土謂燒土為之,�悼侗馱]。」
[六] 集解張晏曰:「一斛粟,七糉米,為糲。」瓚曰:「五斗粟,三斗米,為糲。音剌。」韋昭曰:「糲,𤕸也。」 索隱服虔云:「糲,麤米也。」《三倉》云:「粱,好粟。」 正義糲,麤米也,脫粟也。粱,粟也。謂食脫粟之麤飯也。
[七] 正義藜,似藿而表赤。藿,豆葉也。
[八] 正義以桐木為棺,厚三寸也。

    法家不別親疏,不殊貴賤,一斷於法,則親親尊尊之恩絕矣。[一]可以行一時之計,而不可長用也,故曰「嚴而少恩」。若尊主卑臣,明分職不得相踰越,雖百家弗能改也。
법가는 친소를 구별하지 않고, 귀천도 달리 없어 모든 것을 법에 따라 하나로 결정한즉, 친친존존의 은혜가 끊어진다. 일시적 방편일 수는 있지만 장구지계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고로 「엄하나 은혜가 적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군주를 높이고 신하는 낮추며 분직을 밟혀 서로 참월함이 없게 함은 백가라도 고칠 수 없는 것이다.
[一] 索隱案:禮,親親父為首,尊尊君為首也。

    名家苛察繳繞,[一]使人不得反其意,專決於名而失人情,故曰「使人儉而善失真」。若夫控名責實,參伍不失,[二]此不可不察也。
명가는 엄격하게 살피는 듯 하지만 대체를 포착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 반대의 결과만 낳게 하니 오로지 그 명분에만 주목하여 인정을 잃어버린다. 고로「 살피게 하지만 그 진상은 잘 놓치고 만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명분을 제어하여 실상을 책하고 서로 참고하여 치우쳐 잃게 하지 않는 이러한 명가의 장점은 살피지 않을 수 없다.
[一] 集解服虔曰:「繳音近叫呼,謂煩也。」如淳曰:「繳繞猶纏繞,不通大體也。」
[二] 集解晉灼曰:「引名責實,參錯交互,明知事情。」

    道家無為,又曰無不為,[一]其實易行,[二]其辭難知。[三]其術以虛無為本,以因循為用。[四]無成埶,無常形,故能究萬物之情。不為物先,不為物後,[五]故能為萬物主。有法無法,因時為業;[六]有度無度,因物與合。[七]故曰「聖人不朽,時變是守。[八]虛者道之常也,因者君之綱」也。[九]群臣并至,使各自明也。其實中其聲者謂之端,實不中其聲者謂之窾kuǎn빌 관。[一○]窾言不聽,姦乃不生,賢不肖自分,白黑乃形。在所欲用耳,何事不成。乃合大道,混混冥冥。[一一]光燿天下,復反無名。凡人所生者神也,所託者形也。神大用則竭,形大勞則敝,形神離則死。死者不可復生,離者不可復反,故聖人重之。由是觀之,神者生之本也,形者生之具也。[一二]不先定其神[形],而曰「我有以治天下」,何由哉?
[一] 正義無為者,守清淨也。無不為者,生育萬物也。
[二] 正義各守其分,故易行也。
[三] 正義幽深微妙,故難知也。
[四] 正義任自然也。
[五] 集解韋昭曰:「因物為制。」
[六] 正義因時之物,成法為業。
[七] 正義因其萬物之形成度與合也。
[八] 索隱「故曰聖人不朽」至「因者君之綱」,此出鬼谷子,遷引之以成其章,故稱「故曰」也。 正義言聖人教�エㄕ晰尷怴A順時變化。
[九] 正義言因百姓之心以教,唯執其綱而已。
[一○]集解徐廣曰:「音款,空也。」駰案:李奇曰「聲別名也」。 索隱窾音款。《漢書》作「款」。款,空也。故申子云「款言無成」是也。聲者,名也。以言實不稱名,則謂之空,空有聲也。
[一一]正義上,「胡本」反。混混者,元氣(神者)之蓢也。
[一二]集解韋昭曰:「聲氣者,神也。枝體者,形也。」


  太史公既掌天官,不治民。有子曰遷。

*사기 태사공자서
*한서 사마천전
Share: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