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4월 11일 수요일

원중도(袁中道)의 상뢰정기(爽籟亭記)

玉泉初如濺珠,注為修渠,至此忽有大石橫峙,去地丈餘,郵泉而下,忽落地作大聲,聞數里,予來山中,常愛聽之。泉畔有石,可敷蒲,至則跌坐終日。其初至也,氣浮意囂,耳與泉不深入,風柯谷鳥,猶得而亂之。及瞑而息焉,收吾視、返吾聽,萬緣俱卻,tà멍할 탑焉喪偶,而後泉之變態百出。初如哀松碎玉,已如鵾弦鐵撥,已如疾雷震霆、搖蕩川岳,故予神愈靜,則泉愈喧也。泉之喧者入吾耳而注吾心,蕭然冷然,浣huàn濯肺腑,疏瀹yuè데칠 약, 트일 약塵垢,灑灑乎忘身世而一死生,故泉愈喧,則吾神愈靜也。

夫泉之得子也,予為導其渠之壅滯,除其旁之草萊,汰其底之泥沙。濯足者有禁,牛馬之躁踐者有禁,予之功德於泉者止此耳。自予之得泉也,舊有熱惱之疾,根於生前,蔓於生後,師友不能箴,靈文不能洗,而與泠冷之泉遇,則無涯柴棘,若春日之伴薄冰,而秋風之隕敗tuò대껍질 탁,泉之功德於我者,豈其微哉?泉與子又安可須臾離也。

故予居此數月,無日不聽泉二初曦落照往焉,惟長夏亭午,不勝爍也,則暫去之矣;斜風細雨往焉,惟滂淪淋漓,殭蓋之松不能蔽也,則暫去之矣;暫去之,而予心皇皇然,若有失也。乃謀之山僧,結茅為亭於泉上,四置軒窗,可坐可臥。亭成而嘆日:是驕陽之所不能驅,而猛雨之所不能逐也。與明月而偕來,逐夢寐而不鏟,吾今乃得有此泉乎。且古今之樂,自八音止耳,今而後始知八音外別有泉音一奇,世之王公大人不能聽,亦不暇聽,而專以供高人逸土陶寫性靈之用,雖帝王之咸英韶武,猶不能與此冷冷世外之聲較也,而況其他乎!(고금의 음악이란 팔음에 그칠 뿐인데, 이제 후로 팔음 말고도 따로 샘물의 기이한 소리가 있음을 알겠거니, 세간의 왕공대인이 들을 수 없음이요, 또 들을 여유가 없음이라. 오로지 고인과 은사가 성령을 도야함에 제공되나니, 비록 제왕의 함염과 소무일지라도 오히려 이 시원스런 세상 밖 소리와 비교할 수 없을 터인데, 하물며 그 밖의 소리에 있어서랴!)於何幸而得有之。豈非天所以責予者歟?於是置几移fú보자기 복, 행낭,窮日夜不舍,而字之曰「爽籟」云。

Share: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